반응형
색보정(Color Correction & Color Grading)은 영상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편집 요소입니다.
색감은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분위기와 감정을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같은 영상도 색보정에 따라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죠.
잘된 색보정은 시청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영상의 완성도를 극대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색보정의 기본 개념을 정리했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핵심 요소를 정리했으니, 색보정을 통해 영상의 퀄리티를 높여보세요.
1. 색보정 (Color Correction & Color Grading)
영상 편집에서 색을 다루는 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Color Correction: 촬영한 원본 영상의 색상을 자연스럽고 일관되게 맞추는 과정입니다.
- Color Grading: 특정 분위기나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색감을 창의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예시: Color Correction → 원본 영상의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고 노출 조정
예시: Color Grading → 따뜻한 영화 톤, 차가운 도시 느낌, 빈티지 스타일 등 연출
2. 색보정의 핵심 요소
색보정을 잘하려면 아래 요소를 이해하고 조절할 줄 알아야 합니다.
1) 화이트 밸런스 (White Balance)
- 조명 환경에 따라 영상이 너무 푸르거나(차가운 톤), 너무 노랗게(따뜻한 톤) 변하지 않도록 조절
- 예제: 형광등 아래서 촬영한 영상이 푸르스름하다면, 색온도를 조절하여 자연스럽게 보정
2) 노출(Exposure) 및 대비(Contrast) 조정
- 영상이 너무 밝거나 어둡지 않도록 밝기와 대비를 조정해 세부 디테일을 살림
- 하이라이트와 섀도우를 조절해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
3) 색조(Tint)와 채도(Saturation)
- 색조(Tint): 영상이 녹색 기운인지, 자주빛이 도는지를 조정
- 채도(Saturation): 색상을 더 선명하게 또는 부드럽게 연출
4) 커브(Curves) 및 레벨(Levels)
- RGB 커브를 활용해 특정 색상을 강조하거나 전체적인 색 톤을 조정
- 레벨(Levels) 도구로 밝기 조절해 영상의 깊이감 조절
3. 색보정 실전 팁!
- 자연스러운 색보정을 먼저 진행한 후, 감성적인 색보정을 추가하라!
- 피부 톤은 과하게 변하지 않도록 조정하라 (너무 붉거나 노란색으로 변하지 않게)
- 노출과 색온도를 먼저 조절하고, 이후 색보정을 추가하라
- 같은 영상 속 모든 컷이 일관된 색감을 유지하도록 색보정을 맞추라
- 색보정을 할 때 레퍼런스를 참고하라 (좋아하는 영화, 유튜브 영상 참고)
- LUT을 사용하면 쉽게 색보정(Color Grading)을 할 수 있어요.
색보정은 영상 편집의 마지막 마무리 단계이지만, 작은 조정만으로도 영상의 퀄리티를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화이트 밸런스 조절해보기
- 노출과 대비 조정을 통해 색감 맞추는 연습하기
- 좋아하는 영상 색감을 참고하여 비슷한 느낌으로 보정해보기
색보정을 연습하고,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영상을 만들어보세요! 🎬✨
반응형
'영상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편집의 트래킹 기술 (0) | 2025.02.15 |
---|---|
영상 편집에 사용되는 자막 종류와 그래픽의 종류 (1) | 2025.02.15 |
트랜지션: 화면 전환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 (0) | 2025.02.12 |
컷 편집 기법 6가지 (1) | 2025.02.11 |
영상 편집의 기초: 꼭 알아야 할 핵심 7가지 개념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