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비나 영화 속 영상을 보면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색감이 눈에 띄죠?
하지만 원본 영상은 대부분 밋밋하거나 색이 왜곡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Color Correction(색 보정)입니다!
- 밝기와 대비를 조정하여 선명한 영상 만들기
- 화이트 밸런스를 맞춰 정확한 색상 표현
- 원본 색감을 자연스럽게 보정하여 퀄리티 업그레이드
오늘은 Color Correction의 개념부터 실전 활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Color Correction이란? 영상 색감을 살리는 핵심 기술!
Color Correction(색 보정)은 영상의 색상을 조정하여 원래의 자연스러운 색감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촬영 환경에 따라 왜곡되는 밝기, 대비, 색상의 불균형을 보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Color Corretion이 선행되야 감성적인 색감을 추가하는 Color Grading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Color Correction이 중요한 이유
- 촬영 환경에 따른 색상 오류 수정 (너무 어둡거나, 색이 틀어진 영상 보정)
- 다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끼리 색감을 맞춰 통일성 유지
- 밋밋한 원본 색상 개선 → 너무 밝거나, 어둡거나, 색이 왜곡된 영상 수정
Color Correction의 핵심 요소 5가지
화이트 밸런스(WB) 조정
- 색온도가 맞지 않으면 영상이 너무 푸르거나 노랗게 변할 수 있음
- Temperature(색온도)와 Tint(색조)를 조정하여 정확한 색을 맞춤
TIP: 영상이 푸른빛이 강하면 색온도를 올리고, 노란빛이 강하면 색온도를 낮추기
노출(Exposure)과 대비(Contrast) 조정
- 영상이 너무 어둡거나 밝다면 노출과 대비를 조정해야 함
- 대비를 조절하면 화면의 선명도가 증가하여 더욱 생생한 느낌 제공
블랙 & 화이트 포인트 조정
- 영상의 가장 어두운 부분(블랙)과 가장 밝은 부분(화이트)을 조절하여 균형 맞추기
- 명암이 너무 약하면 영상이 흐릿해 보일 수 있음
TIP: 블랙 포인트를 낮춰 더욱 깊이 있는 그림자 표현, 화이트 포인트를 올려 하이라이트 부분을 강조
색상(Hue)과 채도(Saturation) 조정
- 특정 색상이 너무 강하거나 부족할 경우 개별적으로 보정 가능
- 채도를 높이면 선명한 색감, 낮추면 빈티지한 느낌 연출 가능
TIP:
- 자연스러운 피부톤을 유지하기 위해 채도 조절
- 특정 색이 너무 튀면 개별 색상(Hue) 조절
색상 커브(Color Curves) 활용
- 히스토그램을 보며 밝기와 색상을 세밀하게 조정 가능
- 그림자, 중간 톤, 하이라이트의 색 균형을 맞출 때 유용
TIP:
- RGB 커브를 조정하여 영상의 분위기를 미세하게 조절
- 특정 영역만 강조하고 싶다면 곡선을 살짝 조정
프리미어 프로에서 Color Correction 적용하는 방법
- Lumetri Color 패널 열기 (창 → Lumetri Color)
- 기본 보정에서 화이트 밸런스 및 노출 조정
- 색상 휠(Color Wheel)을 활용해 명암 및 색상 미세 조정
- 커브(Curve)를 조정하여 더욱 정교한 보정
- 최종적으로 히스토그램을 확인하여 색 균형 체크
추가 TIP: LUT(색 보정 프리셋)를 활용하면 더욱 빠르게 색 보정을 적용할 수 있음!
Color Correction으로 영상 퀄리티를 높이자!
촬영한 원본 영상을 먼저 밝기와 색감을 조정하여 자연스럽게 보정하세요.
화이트 밸런스와 노출을 신경 써서 수정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영상 스타일을 변경하고 싶다면, 색 보정 후 Color Grading을 추가하면 더욱 감각적인 영상이 완성됩니다!
편집 프로그램을 열고 적용해보세요!
반응형
'영상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조(Hue)란? 색감 조정이 쉬워진다 (0) | 2025.02.22 |
---|---|
색보정(Color Grading)이란? (0) | 2025.02.21 |
영상 색보정 LUT으로 끝 (0) | 2025.02.19 |
유튜브 영상에서 자막이 중요한 이유와 자막의 종류 (2) | 2025.02.18 |
오디오 편집의 종류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