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튜브 영상이나 영화에서 색감이 주는 분위기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따뜻한 감성을 원하면 오렌지 색감, 미래적이고 차가운 분위기를 원하면 푸른 색감을 강조하죠.
이때 색조(Hue)를 조정하면 영상의 전체적인 색상을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 차가운 톤 → 따뜻한 톤으로 변경
- 특정 색만 강조하여 분위기 연출
- 영화 같은 색감을 손쉽게 적용
그렇다면, Hue가 무엇인지,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색조(Hue)란? 색상의 본질을 결정하는 요소
Hue(색조)는 색상의 기본적인 속성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빨강, 파랑, 초록 등으로 인식하는 순수한 색상을 뜻하죠.
- 색상의 본질적인 특성을 나타냄
- RGB(빨강, 초록, 파랑) 색상 모델에서 주요 색조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을 생성
- 색조를 변경하면 영상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달라짐
Hue의 핵심 개념
색상환(Color Wheel)과 Hue
Hue는 색상환(Color Wheel)을 기준으로 색이 변화하는 방향을 결정합니다.
색상을 이동시키면 다른 톤으로 변경 가능
- 빨간색(Hue) → Hue 값을 조정 → 주황색 또는 분홍색으로 변경
- 파란색(Hue) → Hue 값을 변경 → 보라색 또는 청록색으로 변화
Hue와 영상 색보정의 관계
영상 편집에서 Hue를 조정하면 특정 색상의 느낌을 바꿀 수 있음
예를 들어, 푸른 톤을 강조하면 차가운 분위기, 오렌지 톤을 강조하면 따뜻한 느낌 연출 가능
- SF 영상 → 푸른색 Hue 강조
- 감성 브이로그 → 따뜻한 오렌지 Hue 추가
Hue와 채도(Saturation), 명도(Luminance) 차이
요소 | 설명 | 효과 |
Hue(색조) | 색상의 본질적인 속성 | 색상환을 따라 색의 종류 변경 |
Saturation(채도) | 색의 강도 | 색을 더 강하게 또는 흐리게 조정 |
Luminance(명도) | 색상의 밝기 조정 | 어두운 색 → 밝은 색으로 변화 |
Hue는 색상의 종류를 결정하는 요소이며, 채도와 명도와 함께 조절하면 더욱 세밀한 색감 조정이 가능합니다.
Hue 조정 방법 (프리미어 프로 기준)
- Lumetri Color 패널 열기 (창 → Lumetri Color)
- HSL Secondary에서 특정 색상 선택
- Hue 조정 슬라이더를 움직여 색상을 변경
- 필요에 따라 채도(Saturation)와 밝기(Luminance) 조정
- Hue를 급격히 변경하면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니 부드럽게 조정
- 특정 색만 변경하고 싶다면 색상 마스크 기능 활용
Hue를 활용한 스타일 연출
시네마틱 느낌 → 푸른 Hue 추가
따뜻한 감성 브이로그 → 오렌지 Hue 적용
미래적 분위기 → 보라 & 네온 Hue 강조
Hue 조정을 활용해 영상 분위기를 컨트롤하자!
Hue는 색상의 본질적인 특성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Hue를 조정하면 영상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색상환을 활용해 원하는 색감을 적용해보세요!
편집 프로그램을 열고 Hue를 조정해보세요!
반응형
'영상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보정(Color Grading)이란? (0) | 2025.02.21 |
---|---|
색보정(Color Correction)이란? (0) | 2025.02.20 |
영상 색보정 LUT으로 끝 (0) | 2025.02.19 |
유튜브 영상에서 자막이 중요한 이유와 자막의 종류 (2) | 2025.02.18 |
오디오 편집의 종류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