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 직무별 필요 능력

실험 기반 최적화란?

by INTP연구자 2025. 7. 9.
반응형

스타트업의 속도는 빠릅니다.
그리고 그 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성과를 높이려면 감이 아니라 실험이 필요합니다.
작게 테스트하고, 반응을 확인하고, 바로 적용하는 방식.

실험 기반 최적하는 무엇인가요?
실험 기반 최적하는 무엇인가요?

바로 이것이 실험 기반 최적화(Experimentation-based Optimization)입니다.

 

 

실험 기반 최적화란?

실험 기반 최적화는 제품, 마케팅, UI/UX, 콘텐츠 등 모든 요소를 테스트(실험)를 통해 개선해나가는 방식입니다.

즉, 뭘 바꿀지 “감으로 찍는 게” 아니라 실제 사용자 반응을 통해 더 나은 방향을 확인하고 결정하는 전략입니다.

 

 

실무에서 이렇게 적용됩니다

1단계. 문제 정의 또는 가설 설정

데이터 기반으로 검증 할 수 있도록 가설을 세웁니다.

  1. 가입 페이지 이탈률이 너무 높다
  2. 버튼 문구를 바꾸면 클릭률이 올라갈까?

 

2단계. 실험 설계

 

  1. 하나의 변수만 바꾸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실험군(A)과 대조군(B)을 나눕니다.
  3. 어떤 유저에게 어떤 버전을 보여줄지를 정합니다.

사용 툴 예시: Google Optimize, VWO, Firebase, Klaviyo 등

 

3단계. 성과 지표(KPI) 설정

 

클릭률(CTR), 전환율(CVR), 이탈률, 체류시간 등 성공 기준이 명확해야 실험 결과가 의미 있습니다.

 

 

4단계. 실험 실행 및 측정

 

  • 일정 비율의 사용자에게 각각 A안/B안을 보여줍니다.
  • 실험은 최소 7~14일 이상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실험 중에 이벤트나 외부 캠페인이 겹치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5단계. 결과 분석 및 적용

A안과 B안 중 통계적으로 더 좋은 쪽을 전체에 적용합니다.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면 다음 실험을 설계합니다.

 

실무 예시

실험 항목 비교안 목표 지표
버튼 문구 무료 체험 시작하기 vs 3초만에 시작하기 클릭률
온보딩 단계 3단계 vs 5단계 온보딩 완료율
추천 상품 순서 인기순 vs AI 기반 장바구니 전환율
이메일 제목 할인 강조 vs 후기 강조 오픈율, 클릭률

 

 

 

실험 기반 최적화의 장점

  • 작은 실험으로 큰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 사용자 경험을 계속 발전시킬 수 있다.
  •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 의견이 아닌 수치로 말할 수 있다.

 

실험 기반 최적화는 단순한 ‘테스트 기법’이 아닙니다.
작게 시작해서 빠르게 배워나가는 실천 전략이자, 스타트업의 생존 전략입니다.

하나의 가설을 세우고, 작게라도 실험을 시작해보세요.
답은 데이터 속에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