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를 집행하고, 트래픽을 모았는데 전환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문제는 '유입'이 아니라 전환율(Conversion Rate)일 수 있습니다.
많은 스타트업이 ‘더 많은 사람을 데려오자’에 집중하지만, 실은 지금 온 사람들을 어떻게 전환시키느냐가 더 빠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바로 그 해답, 전환율 최적화(CRO)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전환율 최적화란?
전환율 최적화(CRO)는 단순히 페이지를 예쁘게 만드는 게 아니라,
웹사이트나 앱을 방문한 사용자 중 실제로 우리가 원하는 행동(가입, 구매, 문의 등)을 하도록 전환율을 높이는 전략으로
사용자의 실제 행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 흐름, 문구, 요소들을 실험하고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CRO 실무 적용 흐름
1. 전환 목표 정의하기
CRO는 단순히 "구매를 늘리자"가 아닙니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전환으로 정의할지를 먼저 정해야 합니다.
예시: 회원가입 완료, 장바구니 추가, 무료 체험 신청, 이메일 구독, 결제 완료
2. 퍼널 분석으로 병목 구간 찾기
CRO의 핵심은 "어디서 사용자가 이탈하고 있는가?"를 데이터로 파악하는 것
단계 | 전환율 |
방문자 수 | 10000명 |
상품 상세 조회 | 5000명(50%) |
장바구니 담기 | 800명(8%) |
결제 완료 | 160명(1.6%) |
→ 이탈률이 높은 구간을 우선적으로 개선 대상으로 설정합니다.
3. 가설 수립 및 실험 설계
병목 구간이 파악되었다면, 왜 그 구간에서 이탈이 발생하는지 가설을 세우고 테스트합니다.
예시 가설:
- 장바구니 버튼이 너무 아래 있어서 안 보인다.
- 가입 폼 항목이 많아 포기한다
- 배송비 정보가 늦게 보여 불신이 생긴다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A/B테스트, 디자인 개선, 문구 변경 등의 실험을 설계합니다.
4. 실험 실행 및 데이터 수집
- 한번에 하나의 변수만 바꾸는게 원칙
- 실험은 최소 1~2주 이상 진행
- 전환율, 클릭률, 이탈률 등을 비교 측정
핵심: 실험 설계 전 반드시 KPI를 정해둘 것!
5. 분석하고 적용, 그리고 반복
- A안 vs B안 중 성과가 더 높은 쪽을 전체 적용
- 이후 다음 가설을 설계하고 실험을 반복
- 꾸준히 개선 사이클을 돌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CRO 실무 예시
영역 | 테스트 요소 | 전략 에시 |
랜딩페이지 | CTA 버튼 문구 | 지금 시작하기 vs 3초 만에 무료 가입 |
가격 페이지 | 가격 강조 방식 | 월 1900원 vs 첫 달 무료 |
회원가입 폼 | 단계 수 | 1단계 vs 3단계로 페이지 분리 |
상품 상세 | 리뷰 위치 | 베스트 리뷰 상단 고정 |
모바일 UI | 버튼 크기 | 터치 영역 확대, 고정 CTA 적용 |
전환율 최적화는 단순한 디자인 변경이 아니라 사용자의 실제 행동을 기반으로 전략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일입니다.
같은 광고비, 같은 트래픽 안에서도 더 많은 전환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스타트업에 가장 비용 효율적인 전략이기도 합니다.
'스타트업 직무별 필요 능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DDDM)이란? (1) | 2025.07.12 |
---|---|
그로스 실험이란? (2) | 2025.07.11 |
실험 기반 최적화란? (4) | 2025.07.09 |
데이터 시대, 마케터가 알아야 할 5가지 마케팅 실험 전략 (2) | 2025.07.08 |
A/B 테스트란? (1)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