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 직무별 필요 능력

스타트업 기획자, 무슨 일을 할까? – 업무, 역량, 툴 정리(PM, PO)

by INTP연구자 2025. 6. 20.
반응형

스타트업에 관심을 가지면 가장 먼저 궁금해지는 직무 중 하나가 바로 ‘기획자’입니다.(저만 그런가요..)
기획자는 개발자도 아니고, 디자이너도 아니고, 마케터도 아닌데… 도대체 무슨 일을 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스타트업에서 기획자가 실제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어떤 역량이 필요하고, 어떤 툴을 사용하는지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기획자는 ‘무엇을 만들지’를 정의하는 사람

기획자는 스타트업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결정하고 구체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의 불편함을 찾아내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이나 흐름을 기획하며,
그 내용을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이해할 수 있도록 문서나 화면에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획자는 서비스 전반을 설계하는 핵심 직무입니다!
기획자는 서비스 전반을 설계하는 핵심 직무입니다!

기획자는 단순히 ‘기획서만 쓰는 사람’이 아닙니다.
아이디어 단계부터 사용자 문제 정의, 기능 설계, 우선순위 조정, 팀과의 커뮤니케이션까지
서비스 전반을 설계하는 핵심 직무입니다.

 

 

 

기획자의 주요 업무는 이런 것들입니다

기획자는 기획-디자인-개발-출시의 전체 흐름에 관여하며,
기획자 1명이 기획·운영·PM 역할까지 겸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스타트업에선 특히나 ‘역할 경계가 흐린’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연한 사고가 중요합니다.

 

  • 사용자 인터뷰, 경쟁 서비스 분석
  • 서비스 흐름(FLOW) 설계, 와이어프레임 작성
  • 기능 명세서(스펙) 작성
  • 개발자/디자이너와 협업
  • QA 체크리스트 정리 및 피드백 수집
  • 릴리즈 일정 조율 및 문서 정리

 

 

기획자에게 필요한 능력은?

기획자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은 문제를 정의하는 힘입니다.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그대로 기능으로 옮기기보다,
그 불편함의 본질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팀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정리하는 능력이 필요하죠.
'무엇을 만들지'를 결정하는 사람인 만큼, 문제 설정을 잘못하면 결과물 전체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논리적인 사고력입니다.
기획자의 머릿속에 있는 생각은 문서나 와이어프레임, 스펙서 같은 형태로 정리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같은 그림을 보고 함께 만들 수 있으니까요.
복잡한 흐름일수록 구조화된 설명이 중요하고, 단순한 기능도 왜 필요한지를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입니다.
기획자는 개발자와 디자이너, 마케터, 심지어 대표와도 모두 소통해야 하는 직무입니다.
각 직무마다 관심사가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말하는 방식도 달라져야 합니다.
가끔은 중재자 역할도 해야 하고, 빠르게 결정을 내리는 판단력도 필요합니다.

 

또한, 모든 걸 다 할 수 없는 스타트업 환경에서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고객이 원하는 기능은 많고, 시간은 부족한 상황에서
‘지금 가장 중요한 것’부터 골라내는 것이 기획자의 핵심 역할 중 하나입니다.

 

마지막으로는 데이터를 해석하는 감각입니다.
직감만으로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통해 근거를 찾고,
실제 반응을 숫자로 확인하며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스타트업처럼 빠르게 피드백을 반영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기획자의 데이터 감각이 서비스 개선 속도에 큰 영향을 줍니다.

 

결국, 기획자는 문제를 정의하고, 논리적으로 설계하고, 사람들과 함께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기획서를 잘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이전에 사람과 문제를 이해하는 능력이 기획자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기획자가 자주 쓰는 툴

용도
문서 작성 Notion, Google Docs
화면 설계 Figma, Whimsical
구조도/플로우 Miro, Lucidchart
협업 관리 Jira, Notion, Slack
사용자 분석 GA4, Mixpanel, Amplitude
피드백 수집 Airtable, Google Form

툴을 꼭 많이 쓸 줄 알아야 하는 건 아니지만,
툴을 목적에 맞게 잘 활용하는 센스는 기획자의 큰 무기입니다.

 

 

 

기획자와 PM, PO는 뭐가 다를까?

스타트업에서는 이 세 가지 역할이 자주 겹칩니다.
기획자는 기능 중심, PM은 일정과 협업 중심, PO는 제품 방향성과 비즈니스 중심에 가까운 역할입니다.

역할 중요 포인트
기획자 무엇을 만들까?(기능 설계)
PM(프로덕트 매니저) 어떻게 만들고 언제 낼까(일정과 조율)
PO(프로덕트 오너) 왜 만들까?(비즈니스 목표와 방향성)

팀이 작을수록 이걸 한 사람이 다 하기도 하고,
팀이 커지면 역할이 점점 나뉘게 됩니다.

 

 

 

스타트업 기획자는 제품의 설계자이자 통역자

스타트업 기획자는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설계하고, 팀을 연결하는 사람입니다.

아이디어만 있는 상태에서 제품이 실제로 작동하기까지, 그 사이의 다리를 놓는 사람이 바로 기획자입니다.

스타트업 팀 안에서 “이건 누가 결정하나요?”라고 묻는다면, 그 대답은 아마도 ‘기획자’일 겁니다.

다음 글에서는 기획자가 실제로 작성하는 문서 예시, MVP 기능 정하는 팁도 함께 소개해볼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