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든 고객을 똑같이 대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고객마다 관심사도 다르고, 구매 여정도 다르기 때문에
누구에게 어떤 메시지를, 어떤 타이밍에 전달할지를 전략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이 전략의 출발점이 바로 고객 세그먼트(Segmentation)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세그먼트에 대해 알아보고,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객 세그먼트란?
유사한 특성을 가진 고객군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 더 정확한 마케팅 메시지를 만들 수 있고
- 더 높은 전환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 고객 경험을 개인화할 수 있습니다.
세그먼트 전략 수립 5단계
1. 고객 데이터 수집
- 기본 정보(나이, 지역, 성별 등)
- 행동 정보(페이지 방문, 클릭, 장바구니 등)
- 구매 정보(객단가, 재구매율, 구매 주기 등)
- 채널 정보(유입 경로, 접속 디바이스 등)
툴 예시: GA4, CRM, Shopify, Amplitude, Klaviyo
2. 분류 기준 설정
고객을 나눌 수 있는 대표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분류 유형 | 예시 |
| 인구통계 기반 | 연령, 성별, 지역, 직업 |
| 행동 기반 | 방문 횟수, 클릭 기록, CTA 반응, 체류 시간 |
| 심리 기반 | 관심사, 가치관, 브랜드 충성도 |
| 구매 기반 | 구매 금액, 구매 주기, 이탈 여부, 제품 선호 |
두 가지 기준을 교차하면 더욱 정밀한 세그먼트가 됩니다.
예: 장바구니에 2번 이상 넣었지만 결제하지 않은 30대 여성
3. 세그먼트별 목표 설정
세그먼트는 목적 없이 나누면 무용지물입니다.
각 그룹에 어떤 목표와 액션을 취할 것인지를 명확히 정해야 합니다.
| 세그먼트 | 전략 예시 |
| 장바구니 이탈 고객 | 리마인드 이메일, 한정 할인 |
| 고객이탈 가능성 높은 그룹 | 재참여 유도 콘텐츠, 리타게팅 |
| VIP 고객 | 프리미엄 혜택, 조기 예약 제공 |
| 신규 가입자 | 온보딩 콘텐츠, 체험 유도 |
4. 개인화된 메시지 제작
세그먼트마다 말투, 혜택, 콘텐츠를 다르게 구성합니다.
- “다시 오신 걸 환영해요” (재방문자)
- “회원님을 위한 추천 상품” (재구매 고객)
- “첫 구매를 응원합니다” (신규 가입자)
→ 같은 프로모션이라도 세그먼트별로 메시지를 다르게 전달하면 전환율이 훨씬 높아집니다.
5. 반응 측정 및 세그먼트 업데이트
어떤 세그먼트가 반응이 좋은지, 어떤 캠페인이 효과적이었는지
데이터 기반으로 세그먼트를 재조정하고 전략을 최적화합니다.
예시: 고객 세그먼트 전략 시나리오
| 세그먼트 | 특성 | 전략 |
| A: 체험만 하고 결제 안한 사용자 | 고관여, 미결제 | 데모 후 할인 제공 |
| B: 콘텐츠만 보는 사용자 | 저관여, 정보 탐색 | 뉴스레터 구독 유도 |
| C: 월 1회 이상 반복 구매 | 고가치, 충성 고객 | 추천 프로그램 안내 |
| D: 30일 이상 미방문 | 이탈 가능성 | 알림 메시지 + 혜택 구폰 |
고객 세그먼트 전략은 단순한 분류가 아닙니다.
고객 한 명 한 명과 더 나은 관계를 맺기 위한 시작점입니다.
- 잘게 나누고
-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 각각에게 맞는 메시지를 보냅니다
이것이 고객 중심 마켓팅의 출발점입니다.
반응형
'스타트업 직무별 필요 능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B 테스트란? (1) | 2025.07.07 |
|---|---|
| 리드 분류에 세그먼트를 활용하면 효과적 (0) | 2025.07.06 |
| 고객 1명의 가치(LTV)는 무엇일까요? (1) | 2025.07.04 |
| 리드 스코어링 기준 설정 방법 (2) | 2025.07.03 |
| 쿠키, 메타 픽셀, 구글 태그? 트래킹 기술이란? (1) | 2025.07.02 |